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경·공매 투자자 여러분! 저는 경매로 돈 버는 재미에 푹 빠진 블로거인데요, 오늘은 경·공매 투자와 분할지급형 사유림 매수 제도를 결합해서 수익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풀어볼게요. 이 제도는 산림청에서 운영하는 정책으로, 산지를 팔면 10년간 매달 돈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에요. 경매로 저렴하게 낙찰받은 임야를 이 제도에 활용하면 투자금 회수하고 추가 수익까지 챙길 수 있으니, 관심 있다면 끝까지 읽어보세요. 사설 경매 사이트에서 물건 찾는 팁부터 실전 전략까지 꼼꼼히 정리했답니다!
https://auctionguide.tistory.com/113
분할지급형 사유림 매수 제도, 뭐길래?
먼저 이 제도가 뭔지 간단히 짚고 갈게요. 2021년 산림청이 도입한 정책인데, 개인이 소유한 사유림(임야)을 국가에 매도하면 대금을 한꺼번에 주는 게 아니라 10년 동안 월 단위로 나눠서 지급해줘요. 예를 들어, 산지 가치가 3,000만 원이라면 월 25만 원씩 10년간(이자 포함하면 더 늘어날 수도) 받는 식이에요.
-
산주 입장: 관리 힘든 산지를 현금화해서 안정적인 수입 만들기 가능.
-
국가 입장: 국유림 늘려서 산림 보존하고 공익적 가치 높이기.
경·공매 투자자라면 여기서 눈이 번쩍 뜨일 거예요. 저가로 낙찰받은 산지를 산림청에 넘기면 투자금 회수하고 매달 돈까지 들어오니까요. 이 조합이 얼마나 매력적인지,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파헤쳐 볼게요!
산림청이 원하는 산지: 어떤 물건이 적합할까?
경매 사이트에서 물건 찾으려면 먼저 산림청이 어떤 임야를 좋아하는지 알아야 해요. 제가 이전에 강원도 인제군(300ha), 경북 안동(150ha) 같은 실제 사례를 조사하면서 정리한 특징은 이래요:
-
위치가 핵심이에요
-
국유림·국립공원 근처: 국유림과 붙어 있거나 가까운 산지가 관리 효율성 때문에 선호돼요.
-
개발 제한 맹지: 도로 없고 건물 못 짓는 땅이 오히려 공익 가치 높아서 좋대요.
-
-
토지 상태도 중요
-
경사도 높음: 20도 이상이라 활용도 떨어지는 산지.
-
입목 가치 낮음: 소나무, 잣나무처럼 경제성 낮은 나무가 많으면 적합. 참나무 같은 고급 목재가 많으면 제외될 수도 있어요.
-
-
법적 조건 확인
-
소유권 분쟁 없고, 저당권·압류 같은 법적 문제 없는 깨끗한 산지여야 해요.
-
-
면적은 어느 정도?
-
최소 1ha(3,000㎡, 약 900평) 이상은 되어야 실효성 있어서 수용 확률 높아요. 너무 작은 땅은 관심 덜 받더라고요.
-
-
소유자 상황
-
고령자가 관리 포기한 산지가 많아요. 이런 땅은 제도 취지(노후 소득 보장)에 맞아서 우선순위 높아질 수 있죠.
-
이 조건에 맞는 물건을 경·공매에서 찾으면 투자 성공 확률이 쑥 올라가요. 그럼 이제 사설 경매 사이트에서 어떻게 검색할지 단계별로 알려드릴게요!
사설 경매 사이트 활용법: 검색 조건 설정 팁
사설 경매 사이트에서 물건 찾을 때 막막하시죠? 제가 직접 설정하면서 터득한 팁을 풀어볼게요. 이 조건으로 필터링하면 분할지급형 매수에 딱 맞는 임야가 쏙쏙 걸러져요.
-
물건 종류부터 좁히기
-
설정: 물건종류 → "임야"만 체크.
-
왜?: 이 제도는 사유림만 대상이라 주거용 대지나 농지는 필요 없어요. 처음부터 임야로 한정하면 시간 절약돼요.
-
-
주소로 타겟팅하기
-
설정: 주소선택 → 시/도에서 "강원도", "경북", "충북" 선택 → 구/군에서 "인제군", "안동시 임하면", "제천시 백운면" 같은 산간 지역 입력.
-
팁: 국유림 비율 높은 지역(강원도 80%, 경북 70%)을 공략하세요. 예를 들어, "인제군 북면"처럼 국립공원 근처 동네 넣으면 금상첨화! 개발 가능성 낮은 읍/면 단위가 포인트예요.
-
추가: 지번범위는 "전체"로 두고, 물건 상세 페이지에서 "맹지" 키워드 확인하세요.
-
-
면적 설정 제대로 하기
-
설정: 대지면적 → "3,000㎡~" 입력.
-
왜?: 사례 보면 80~300ha가 수용됐는데, 최소 1ha는 넘어야 산림청이 관심 가질 확률 높아요. 300평 이하는 실효성 떨어져서 제외될 수 있으니 주의!
-
-
가격 낮게 잡기
-
설정: 감정가격 → "500만 원, 5,000만 원", 최저가격 → "300만 원".
-
팁: 활용도 낮은 산지가 타겟이라 저가 물건이 적합해요. 유찰 횟수를 2~3회 이상으로 설정하면 가격 더 떨어진 물건 쉽게 찾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강원도 맹지가 1,000만 원대에 유찰됐으면 낙찰 후 신청하기 딱 좋아요.
-
-
물건 현황 활용하기
-
설정: 물건현황 → "진행물건" + "유찰" 체크.
-
왜?: 진행 중 물건은 경쟁 있을 수 있지만, 유찰된 건 저가 낙찰 가능성 높아서 투자 수익 극대화에 유리해요. 유찰 2회 이상이면 입찰자 적어서 공략하기 최고죠.
-
-
특수물건 여부 체크
-
설정: 특수물건 → "설정안함"으로 두고, 상세 정보에서 "개발제한구역", "보전산지" 키워드 검색.
-
팁: 물건 설명에 "맹지", "경사도 높음", "보전산지" 같은 문구 있으면 분할지급형에 적합할 가능성 높아요. 법원 자료로 한 번 더 확인하세요.
-
-
소유권 상태 확인
-
설정: 검색 조건엔 없지만, 상세 페이지에서 "저당권", "압류" 여부 점검.
-
왜?: 산림청은 깨끗한 소유권 선호해요. 채권 설정 없거나 소액 압류만 있는 물건이 이상적이에요.
-
-
매각기일 여유롭게 잡기
-
설정: 매각기일 → "오늘~1개월 후".
-
팁: 급하게 입찰 준비 안 해도 되니까 분석 시간 넉넉히 가지세요. 물건 꼼꼼히 볼 여유가 생기죠.
-
-
정렬방법 스마트하게
-
설정: 정렬방법 → "최저가 순" or "유찰 횟수 순".
-
왜?: 저가 낙찰 목표면 최저가 순, 경쟁 피하려면 유찰 많은 물건 위주로 보세요.
-
실전 팁: 추가로 챙겨야 할 포인트
검색만 잘한다고 끝나는 게 아니에요. 실제 낙찰까지 가려면 이런 점도 챙겨야 해요:
-
현장 확인은 필수예요
경매 사이트 사진이나 지도 보면서 국유림 근처인지, 경사 심한지 눈대중으로 체크하세요. 시간 되면 직접 가서 맹지 여부 확인하면 더 확실하죠. 저는 한 번 강원도 물건 보러 갔다가 경사 보고 "이건 되겠다!" 확신했던 적 있어요. -
고령자 소유 물건 노리기
보존등기일이 20~30년 전이면 고령자 소유일 가능성 높아요. 이런 산지는 관리 포기 상태일 확률 크고, 분할지급형 신청 시 수용 잘 되더라고요.
예시로 보는 검색 조건
제가 추천하는 설정으로 예시 하나 만들어 봤어요:
-
종합검색: "임야 맹지" 입력.
-
법원선택: "강원지방법원" or "춘천지방법원".
-
물건종류: "임야".
-
주소선택: 강원도 → 인제군 → 북면.
-
대지면적: 3,000㎡~.
-
감정가격: 1,000만 원~5,000만 원.
-
최저가격: 500만 원~.
-
물건현황: 유찰 2회 이상.
이렇게 하면 인제군에서 유찰된 저가 맹지 임야가 뜰 확률 높아요. 예를 들어, 1,500만 원짜리 5ha 산지가 유찰돼 800만 원에 나오면 낙찰 후 산림청에 신청해볼 만하죠. 투자금 800만 원으로 월 15만 원씩 10년 받으면 총 1,800만 원, 순익 1,000만 원 넘는 셈이에요!
수익 계산 예시: 이렇게 돈 벌어요
실제 투자 사례로 감 잡아볼게요:
-
물건: 강원도 인제군 맹지 5ha.
-
감정가: 2,000만 원 → 유찰 2회 후 최저가 1,000만 원.
-
낙찰: 1,200만 원에 성공.
-
산림청 신청: 감정평가 2,500만 원 → 월 20만 원씩 10년(총 2,400만 원 + 이자).
-
결과: 투자 1,200만 원 → 수령 2,500만 원 = 1,300만 원 순익.
이런 물건 찾으면 투자 회수하고 매달 돈 들어오는 재미 느낄 수 있어요. 강원도나 경북 지역에서 이런 사례 꽤 보이더라고요.
주의할 점과 성공 전략
주의할 점:
-
감정평가 낮게 나올 수도: 산림청 평가가 시세보다 낮으면 기대 수익 줄어들 수 있어요.
-
예산 한도: 연간 예산(예: 2022년 1,422ha) 넘으면 신청 거절될 수도 있으니 타이밍 잘 맞추세요.
-
법적 하자: 저당권 있으면 낙찰돼도 신청 못 하니까 상세 정보 꼼꼼히 보세요.
성공 전략:
-
유찰 물건 공략해서 저가에 낙찰받기.
-
낙찰 후 관할 국유림관리소(예: 강원지방산림청)에 전화로 "이 땅 분할지급형 매수 가능할까요?" 물어보기.
마무리: 경·공매와 산림청 제도로 대박 노려보세요!
경·공매에서 저가 맹지 임야 낙찰받아서 분할지급형 사유림 매수로 넘기면 투자와 안정적 수익 둘 다 잡을 수 있어요.
특히 강원도, 경북 같은 지역 물건 공략하면 성공 확률 높아 보이네요.
지금 사설 경매 사이트 들어가서 조건 설정해 보고, 궁금한 거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다음에도 경·공매 꿀팁으로 찾아올게요. 좋아요, 구독 부탁드릴게요!
728x90
LIST
'부동산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인구 증가 지역에서 토지 투자 기회 찾기 (4) | 2025.04.01 |
---|---|
토지 투자 초보자를 위한 기초 가이드 -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5) | 2025.03.31 |
분할지급형 사유림 매수 제도: 산지로 노후 대비하는 법 완벽 정리 (0) | 2025.03.25 |
내 첫 경매 물건, 이렇게 골랐어요 (8) | 2025.03.24 |
부동산 경매로 월세 수익 내는 법: 초보 투자자를 위한 완벽 가이드 (9)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