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전략 & 사례(공부)/지분

공유지분 경매 전략: 해외 거주 공유자 협의 방법 및 예상 낙찰가 분석

728x90
반응형
SMALL

공유지분 경매는 일반 경매와 다르게 공유자 간의 협의 여부에 따라 성공적인 투자 여부가 결정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해외 거주 공유자가 있는 경우 협의 방법과 예상 낙찰가를 분석해보겠습니다.


📌 공유지분 현황

해당 부동산은 3명의 공유자가 각각 1/3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김동순 (공유자): 국내 거주 (인천 중구)
  • 박은미 (공유자): 해외 거주 (미국 네바다주)
  • 홍교선 (공유자): 국내 거주 (서울 송파구)

➡ 해외 거주 공유자가 포함된 경우, 협의 과정이 까다로울 가능성이 큼
➡ 공유물 분할이나 협의 매각이 어려울 경우, 지분 경매(공유물분할경매)로 진행될 가능성 높음


📌 해외 거주 공유자와 협의하는 방법

공유지분을 매입하거나 공유물분할청구소송을 고려할 때, 해외 거주 공유자와 협의가 필요한 경우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르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1️⃣ 연락 및 의사 확인

  • 연락 방법
    • 공유자의 주소(미국 네바다주 89134 라스베가스 드라이브 800)가 등기부등본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우편을 통한 내용증명 발송 가능
    • 이메일이나 카카오톡, WhatsApp 등의 연락처가 있다면 직접 연락을 시도
    • 공유자의 국내 가족이나 대리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협의 가능성 탐색
  • 협의 내용
    • 공유자가 지분을 매각할 의사가 있는지 확인 (공유자 간 지분 거래 가능성)
    • 공유자가 지분을 직접 매각할 의사가 없다면 공유물분할 소송이나 경매 진행 가능성 안내
    • 공유자 간 매매가 원활하지 않으면 경매를 통한 처리 필요성 설명

2️⃣ 해외 거주 공유자의 대응 가능성

반응 대응 전략

매각 의사 있음 협의 후 공유자 간 직접 매매 가능 (국내 계좌 송금 필요)
매각 의사 없지만 협의 가능 전체 매각 논의, 공동 투자 방안 검토
응답 없음 공유물분할소송 또는 공유지분경매 진행
적극 반대 경매 또는 협상 유도

3️⃣ 공유물 분할 청구 가능성

  • 공유자 중 1명이 공유물 분할 소송을 제기하면, 법원에서 협의되지 않는 경우 경매로 처분 가능
  • 하지만 해외 거주자인 경우, 국내 재판에 응할 가능성이 낮아 공유물 분할 소송이 지연될 가능성 있음
  • 따라서 협의가 어렵다면 공유자 지분 경매를 통해 직접 지분을 낙찰받는 전략이 현실적

📌 예상 낙찰가 분석

공유지분 경매의 낙찰가율은 일반 부동산 경매보다 낮게 형성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1️⃣ 낙찰가율 참고

  • 일반적으로 공유지분 경매의 낙찰가율은 50~70% 수준에서 결정됨
  • 해당 부동산의 시장가 대비 1/3 지분을 평가한 후, 낙찰가율을 적용하여 예상 낙찰가 산정

2️⃣ 시장가 기반 예상 낙찰가 산출

현재 해당 부동산의 전체 시세를 약 4억 3,500만 원으로 가정하면,

  • 1/3 지분의 가치: 약 1억 4,500만 원
  • 예상 낙찰가율(50~70%) 적용 시: 7,250만 원 ~ 1억 150만 원

공유지분 경매는 일반 매매보다 복잡한 절차와 리스크가 따르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 결론 및 투자 전략

공유지분 경매는 일반 투자자보다는 공유지분 경매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투자자에게 적합한 물건입니다.

📍 장점: 저렴하게 낙찰 가능, 지분 정리 후 차익 실현 가능
📍 단점: 공유자 협의가 어렵거나 분할이 불가능하면 장기 보유 리스크 존재

✔ 투자 전략

공유자 협의 가능성 분석
➡ **김동순, 홍교선(국내 거주)**는 협의 가능성이 있지만, **박은미(해외 거주)**는 협의가 어려울 수 있음.
➡ 공유자 간 원만한 협의가 어렵다면, 공유물 분할 청구 또는 지분 경매를 통한 전략적 접근 필요

지분 경매 낙찰가 예측
지분 경매 특성상 시세보다 낮게 낙찰될 가능성 높음
➡ 그러나 단독 소유가 아니면 활용도가 떨어지므로, 저가 낙찰이 가능하지만 장기 보유 시 리스크 고려해야 함

매각 전략
➡ 낙찰 후 공유자들에게 매각을 제안하는 방식이 일반적
➡ 또는 제3자(부동산 투자자)에게 전체 지분을 되파는 방식도 고려

최선의 전략: 지분을 저렴하게 낙찰받은 후, 공유자 중 1인에게 매각을 유도하는 방식이 현실적.

 

📌 2/3 지분 확보 시 가능해지는 권리

  1. 사실상 토지 사용·수익 가능
    • 공유물은 원칙적으로 공유자 전체의 동의 없이 단독으로 사용하기 어렵지만, 과반수(2/3) 지분을 소유하면 다른 공유자가 이의를 제기하기 어려움.
    • 박은미(해외 거주)가 본인의 1/3 지분을 주장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실질적으로 해당 토지를 활용 가능.
  2. 공유물분할청구 가능
    • 과반 지분을 보유하면 공유물 분할 소송 시 상당한 우위를 점할 수 있음.
    • 법원에서 경매를 통한 공유물 분할(강제매각)을 명할 가능성이 높아짐 → 남은 1/3 지분을 경매로 매입할 수 있음.
  3. 실질적인 매각 협상 주도 가능
    • 2/3 지분을 확보한 상태에서 박은미에게 매수 제안 시, 해당 지분은 매수 가능성이 높음.
    • 공유지분이 많을수록 협상력이 강해지므로 박은미가 직접 매도하지 않더라도 경매를 통한 매입이 가능.

📌 전략적 접근 방법

  1. 1/3 지분(김동순) 경매 낙찰홍교선의 1/3 지분 매입
  2. 총 2/3 지분 확보 후 토지 사용 (사실상 단독 사용 가능)
  3. 박은미(해외 공유자)에게 지분 매수 제안 (협상이 안 되면 공유물분할소송 제기)
  4. 경매 또는 협상을 통해 100% 지분 확보

 

728x90
LIST